무려 일주일이 지났지만 기억을 되새기고자 적어봅니다.

 

...

 

아케이드 프로젝트 8주 세미나를 뒤로 하고, 닥터 벤야민이 파리의 거리를 산책하며 수집한 무수한 인용 문구 가운데 나를 사로잡은 문장은 다름 아닌 '예술은 상품의 시녀가 되었다'였다. 흘끗 보면 그저 예술이 상품화 되었다는 일반 현상을 적시한 문장일지 모르나, 당대 유행한 탐정의 시선으로 빙의되어 가만히 들여다보면 여기엔 그 이상의 뭔가 있는듯 하다. 이를테면 범죄 현장의 비린내 같은거 말이다, 흐음..

 

 

뭔 일이 일어날 것만 같다.. 무섭.. ㄷㄷ

 

 

벤야민 식으로 풀어본다면, 예술의 상품화는 곧 아우라를 상실한 예술이다. 예술 그 자체에는 뭔가 오리지널 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분위기-'아우라'가 있는데, 근대의 인쇄 혹은 사진과 같은 복제 기술의 발명으로 그러한 면이 희석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단지 원본이 복제되어 유통되는 현상의 문제라기 보다는, 오히려 복제된 예술 작품을 즐기는 나를 포함한 관람자 그 자체가 논의의 핵심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복제 기술 덕분에 우리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간편하게 위대한 명화 혹은 건축, 음악 등을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시공간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이 없던 시절을 잠시 상상해보자. 예컨대 모나리자를 보기 위해 석달간 시간들여 돈써가며 해당 작품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하는 그런 힘겨움을 이제는 굳이 거치지 않아도 된다. 원본 거의 99.9% 동일한 복제 이미지를 휴대전화 혹은 모니터로 3초면 검색하여 찾아볼 수 있다.

 

뭐가 문제인가? 이런 왓어원더풀한 세상, 기술복제 시대가 안겨준 판타스마고리아도 제법 쓸만하지 않은가? 영화 '클릭'에서는 이러한 욕망을 극한으로 보여준다. 인생의 리모콘으로 귀찮고 번거로운 순간은 전부 '빨리감기'해서 스킵해버리고, 달콤하고 환희의 순간만 하이라이트 포커싱하여 데려다준다. 그렇게 인생의 서사가 거세된 인간의 말로를 알고 싶으면 꼭 보시라!

 

 

빨리감기 하다 인생 자체를 스킵해버린 이의 웃지못할 우화

 

 

그런데 우리는 석달 걸릴 것을 3초 안에 해결했을지 모르지만, 석달의 여정을 통해 생성할 수 있는 경험의 아우라를 상실했다. 요컨대 아우라는 단지 원본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위기 뿐만 아니라, 그것을 경험하는 자의 시선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쉽게 얻은 것에는 오래 눈길이 머물지 않는다. 그러나 품을 들인 것은 유심히 들여다 보게 된다. 거기서 바로 아우라가 생성된다. 벤야민은 이것을 '시선을 돌려보낸다'라고 이야기한다. 즉, 주체가 깊은 시선을 보내면 대상은 그에 상응하는 시선을 돌려보내고 그 교차점에서 '아우라'를 '경험'할 수 있다.

 

말하자면 아우라는 관람하는 자, 좀 더 실감나게 표현하면 경험하는 존재 스스로 생성하는 특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당신이 아우라의 원천이다. 내가 세상을 깊고, 강렬하게 경험하면 할수록 아우라의 농도는 짙어진다. 그리고 그에 따라 예술 작품이든 풍경이든, 책이든 뭐가 되었든 간에, 외부 세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극에 도취될 수 있을 것이다. 그야말로 예술적인 삶의 향연일듯.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런 예술적인 삶은 현대인(이라 쓰고 나라고 읽는다)에게 요원한 형국이 되어버렸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했듯 이미 예술이 상업의 시녀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 문구는 말하자면, 경험의 아우라를 생성하는 인간이 살해당한 범죄 현장을 가리킨다. 그런데 단지 타살로 치부할 수 있을까, 오히려 인간 스스로 자초한 자살에 가까워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행위를 나 역시 일상에서 매순간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삶에서 얻어지는 여러 경험들은 진정한 아우라.. 뭐랄까 숙성하여 완성되어가는 예술작품이 되기 보다, 일회용 상품처럼 쓰고 버려지는 그 무엇이 되어 버린 것은 아닐런지.

 

스스로의 경험을 일회용으로 취급하는 것은 자신에 대한 인격 살해라고 말해도 무리 없다. 나 자신은 상품을 소비하듯 내 인생을 소비하고, 일회용품처럼 폐기될 운명을 예감한다. 그것을 멈추기 위해선 어떤 경험이라도 아우라의 향기가 스며들게 기억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이런 후기가 그런 기억의 단초가 될지도. 마치 프루스트의 마들렌 처럼 말이다._(끝)

 

P.S) 이렇게 보니 닥터 벤야민은 파리의 밤거리를 산책하기 보다 탐사했고, 수집이 아닌 탐문을 했다. 자본주의의 적나라한 범죄현장을 추적한 수사반장 벤야민..! 커헉..

Posted by 지장보리
,